일본에서 쌀 가격이 1년 새 3배로 폭등하면서 정부가 비축미 방출에 나섰지만 시장의 반응은 냉담한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일본 정부가 쌀값 폭등의 원인을 제대로 설명조차 못하고 있는 가운데 당분간 공급 불안에 따른 쌀값의 고공행진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3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2월 하순 기준 니가타산 고시히카리 60kg의 도매 가격은 약 5만1250엔(약 50만원), 아키타산 아키타코마치는 약 4만9000엔 수준입니다. <br /> <br />두 품종 모두 2월 상순 대비 5~6% 상승했으며, 1년 전과 비교하면 무려 3배 높은 가격입니다. <br /> <br />농림수산성이 25일 발표한 전국 슈퍼마켓 평균 쌀 판매 가격(5kg)도 10~16일 기준 3892엔으로, 1년 전보다 1.9배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 농림수산성은 지난달 7일 사상 처음으로 비축미 방출을 발표한 데 이어, 21만t을 추가 방출하고 3월 초에도 15만t을 입찰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3월 말~4월 초 시장에 비축미가 풀릴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시장에서는 비축미 방출이 실질적인 가격 안정으로 이어질지에 대한 의구심이 큽니다. <br /> <br />방출량과 입찰 일정은 정해졌지만, 품종과 배분 방식이 명확하지 않아 시장에 미칠 영향을 예측하기 어렵다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농림수산성이 쌀 생산·유통 관계자들과 의견 교환회를 연 결과, 21만t 방출이 단기적인 공급 불안을 완화할 수 있지만, 장기적으로는 부족하다는 우려가 제기됐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2025년산 쌀 확보에도 차질이 생길 가능성이 지적됐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 정부는 쌀값 폭등의 원인을 명확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태풍과 지진 경보로 인한 사재기, 외국인 관광객 증가 등이 원인으로 거론되지만, 이러한 요인만으로는 급격한 가격 상승을 설명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당분간 일본의 쌀값 상승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우세합니다. <br /> <br />AI 앵커ㅣY-GO <br />자막편집 | 이 선 <br /> <br />#지금이뉴스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50304165411064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